목록시스템 프로그래밍 (2)
개발자 끄적끄적
CPU(중앙처리장치) : 연산, 제어장치 - 실제로 일을 한다 -> 계산(연산) 및 논리연산 - 일거리는 메모리(주기억장치)하고 communication - Input/Output/Controll로 이루어져있다(0,1bit밖에 모른다) 주기억장치 : Main Memory(DRAM, Dynamic random-access memory : 동적막기억장치), Power가 off되면 다 날아감 보조기억장치 : Power off가 되도 여전히 남아있다 - 단위 : File - ex) 'sys.c(보조기억장치)'이라는 파일을 만들 때 -> CPU가 못알아들음 - CPU가 알아듣게 바꿔야한다 -> 번역 -> sys.out(보조기억장치) -> sys.out(주기억장치) *주기억장치에 있을 때 sys.out는 proce..
- Parent 프로세스 아이디 - 부모 프로세스 : 0번 프로세스를 제외한 모든 프로세스에는 자신을 생성하는 프로세스 - 부모 프로세스의 PID를 검색하려면 getppid() 함수를 사용 - 함수 원형 #include #include pid_t getppid(void); - 프로세스 아이디 - 메인메모리에 올라가 있는 프로세스 아이디 - '파일'로 존재 -> (메인메모리 올라가면) '프로세스'로 존재 - PID는 0번부터 시작 - 0번 프로세스는 스케쥴러 : 프로세스에 CPU 시간을 할당하는 역할 수행 -> 각각의 프로세스에게 CPU에게 쓸 수 있는 시간을 할당\ - 커널의 일부분이므로 별도의 실행 파일은 없다 - 1번 프로세스 : init로 프로세스가 새로 생성될 때마다 PID와 중복되지 않은 번호가..